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 마케팅 전략_STP전략_시장세분화(2011)
    경영지도사 2차 마케팅 기출문제/마케팅관리론 2020. 11. 4. 00:32
    반응형

    시장 세분화의 개념, 기준, 장점을 설명하고 시장 세분화 방법 중 고객의 추구 편익을 기준으로 세분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세분화한 자동차시장의 사례와 시사점에 대해서 논하시오. (30점)

     


    1) 시장세분화의 개념 및 장점

     

    (1) 시장세분화의 개념
    - 같은 세분시장에 속한 소비자들은 마케팅 활동에 비슷한 반응을 나타내며, 기업의 자원과 능력은 한계가 있다.

    - 전체시장을 일정한 기준에 의해 동질적인 세분시장으로 구분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2) 장점

    - 기업은 시장 세분화를 통해 고객을 유사한 고객 집단별로 분류함으로써 차별화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시장세분화를 통해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할 수 있고, 충족시킬 수 있다.

    - 자사상표들 간의 불필요한 경쟁을 억제할 수 있고, 잠재되어 있는 고객의 욕구를 발견하여 새로운 시장을 개발할 수 있다.

    2) 시장세분화의 기준

    (1) 지리적 기준 :

    - 국가, 지방, 지역, 인구밀도, 도시규모, 기후 등에 의한 시장 세분화 기준을 말한다.

     

    - 지리적 기준에 의한 시장세분화는 다른 기준보다 시장을 구분하는 것이 편리하다

    - 각 지역마다 소비자들 간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에 매우 효과적인 시장 세분화 방법이다.


    (2) 인구통계적 기준 :

    - 연령, 성별, 가족 구성원의 수, 가족 생애주기, 소득, 직업, 교육 인종 및 국적 등과 같은 인구통계상의 변수들에 의한 시장 세분화 기준을 말한다.

    - 이러한 인구통계적 기준에 의한 시장세분화는 측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시장세분화 방법이다.

     

    (3) 심리특성적 기준 :

    사회계층, 라이프 스타일 및 개성 등과 같은 심리특성에 의한 시장세분화기준을 말한다.

     

    (4) 구매행동적 기준 :

    구매 또는 사용 상황, 소비자가 추구하는 편익, 제품의 사용경험, 충성도 및 태도 등과 같은 소비자와 상품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시장 세분화 기준을 말한다.

    3) 자동차 시장의 사례와 시사점

    (1) 소비자는 자동차라는 제품을 통해 가격, 연비, 디자인, 편의성 등 아주 다양한 편익을 추구하고 있다.

     

    (2) 이는 소비자가 하나의 제품에 대해서 다양한 편익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3) 따라서 기업의 입장에서 이러한 편익 세분화를 성공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에 제품에 대해서 느끼는 다양한 편익 중 가장 중요한 편익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