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제3부 자료수집수단_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2013)
    경영지도사 2차 마케팅 기출문제/시장조사론 2020. 11. 10. 22:58
    반응형

    대한 척도의 신뢰성(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을 설명하고, 신뢰성과 타당성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10점)

     

     

    1.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


    1) 개요

    (1) 추상적 변수들은 객관적 척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추상적 개념을 척도로써 측정하는 경우 그 측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

     

    (2) 척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 척도가 타당한지, 신뢰할 수 있는지를 조사해야 한다.

     

    2) 척도의 타당성

    (1) 정의
    -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척도가 얼마나 정확히 측정하는가에 관한 것
    - 기준 관련 타당성, 내용 타당성, 개념 타당성이 있다.  

    (2) 기준 관련 타당성
    - 두 가지 대상들 간의 상관관계에 관련된 것
    - 동시 타당성과 예측 타당성이 있다.

     

    (3) 내용 타당성
    - 측정하고자 하는 추상적 변수의 전체 영역을 척도가 얼마나 잘 대표하는 것인가에 관한 것

     

    (4) 개념 타당성
    - 추상적 변수와 척도 간의 일치성 정도에 관한 것
    - 집중 타당성, 판별 타당성, 법칙 타당성이 있다.

     

    3) 척도의 신뢰성

    - 한 대상을 유사한 척도로 여러 번 측정하거나 한 가지 척도로 반복 측정했을 때 일관성 있는 결과를
    산출하는 정도
    - 내적 일관성, 반복 측정 신뢰성, 대안항목 신뢰성 으로 평가한다.

     


    2. 신뢰성과 타당성 간의 관계
    (1) 신뢰성이 높다고 해서 타당성이 높은 것은 아니지만 측정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뢰성 또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2) 조사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조사 도구의 내용이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을 잘 측정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여러번 측정해도 일관된 결과를 얻어야 한다.

     

    (3) 신뢰성은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필요조건 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4) 신뢰성과 타당성을 측정의 오차와 관련지어 보면 타당성은 측정 시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일어나는 오류인 체계적 오차와 관련되는 개념이다. 

     

    (5) 신뢰성은 측정할 때마다 그 방향이 일정하지 않게 일어나는 비체계적 오차와 관련된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