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제3부 자료수집수단(1)
    경영지도사 2차 마케팅 학과/시장조사론 2020. 10. 9. 05:41
    반응형

     

     

    7. 설문지와 관찰 기록지

     

    7.1. 설문지

     

    1) 정의

     

    - 설문지들의 응답자들의 행동, 생각, 느낌 등을 측정하는 도구

     

     

    2) 조사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는 정보의 결정

     

    - 인터뷰, 우편 등 서베이 등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결정

     

     

    3) 자료수집 수단의 결정

     

    (1) 개별질문 내용의 결정

     

    (2) 그 질문이 반드시 필요한가?

     

    (3) 하나의 질문으로 충분한가?

     

    (4) 적절한 응답자를 선별할 질문이 필요한가?”

     

    (5) 응답자가 응답할 수 있는 질문인가?

     

    (6) 응답자가 질문에 응답할 것인가?

     

     

    4) 질문과 응답 형태의 결정

     

    (1) 개방형 질문

     

    - 응답 대안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응답자가 자유롭게 응답을 표현하는 방법

     

    - 다양한 응답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 주관적 해석 및 코딩이 어렵다

     

    - 예, 귀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콘도나 리조트’ 하면 어떤 콘도나 리조트가 생각나십니까? 그다음으로? 생각나는 곳은 어디입니까? 그 다음은요?

     

    (2) 폐쇄형 질문

    - 선다형 질문

    - 이분형 질문

    - 척도점을 이용한 질문

     

     

    5) 질문의 표현

     

     

    6) 질문의 작성

     

    - 가급적 쉽게 질문한다.

    - 애매모호한 질문을 피한다.

    - 유도하는 질문을 삼간다(세금 한도를 법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대안을 묵시적이 아닌 명시적으로 표현한다.

    - 응답자가 답변하기 쉽게 질문한다.

    - 한 번에 두 개 이상의 질문을 하지 않는다.

    - 질문의 순서 결정

    - 단순하고 흥미로운 질문부터 시작한다.

    - 논리적이고 자연스러운 흐름에 따라 질문을 위치시킨다.

    - 보다 포괄적인 질문을 한 다음 구체적인 질문을 한다.

    - 분류 항목은 뒤에 위치시킨다.

    - 어렵거나 민감한 질문은 뒤에 위치시킨다.

    - 설문지의 외형적 특성 결정(인쇄 상태,, 설문지 크기 등)

    - 설문지의 검토와 수정

    - 설문지 표지의 개발

    - 사전 설문조사와 필요시 수정

     

     

    7.2. 관찰 기록지

    1) 정의

    - 정형적 질문들과 비정형적 질문들로 구성

    - 정형적 질문은 관찰내용을 응답 대안들 중 해당 난에 표시하는 것

    - 설문지의 폐쇄형 질문

    - 비정형적 질문은 관찰자가 주관적으로 기록하는 것

     

    2) 개방형 질문

    - 은행원 서비스 평가를 위한 관찰 기록지

    - 관찰 기록지 포함사항

    - 언제, 어디서, 어떻게, 무엇을, 누구를 관찰할 것인가?

    - 피 관찰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은 어디까지 기록할 것인가?

     

    예를 들면>

    1. 은행원이 당신에게 인사를 하였는가?

    2. 은행원이 당신에게 친절히 대응하였는가?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