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1. 동기부여의 과정이론
    산업안전지도사/3. 기업진단지도 2020. 7. 15. 20:28
    반응형


    11.1. 브롬의 기대 이론

    1) 기본 가정: 
    직무수행에의 동기는 노력 - 업적(성과) - 보상의 연결고리와 관련이 있음

    2) 동기 부여의 과정:
    M=E (기대 ) X I (수단성 ) X V(유의성 )
    (세 가지가 모두 존재하며야 함)
    기대: 특정한 노력이 업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가능성에 대한 믿음 (주관적)
    - 자기 효능감, 목표의 난이도, 통제감 등의 영향을 받으며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짐

    수단성: 업적에 대하여 보상이 주어질 것으로 믿을 수 있는 정도 (주관적)
    - 조직이나 상사에 대한 신뢰, 조직정치 둥의 영향을 받으며 '-1'과 '1' 사이의 값을 가짐

    유의성: 주어진 보상에 대하 개인의 선호도(주관적)
    - 개인적 욕구, 가치, 목표 등의 영향을 받음

     

    11.2. 아담스의 공정성 이론

    1) 기본 가정:

    자신의 투입/산출 비율과 준거대상의  그것을 비교하여 균형 상태를 이루면 공정성을 인식
    (페스팅거의 인지부조화 이론에 근거하였음)

    2) 불공정 지각 시

    ① 투입 - 산출의 변경
    ② 지각 왜곡
    ③ 준거대상 변경
    ④ 상항 변경

     

    3) 정의 : 

    - 분배적 정의(아담스의 이론)

    - 절차적 정의

    - 상호작용적 정의

    10.3. 로크의 목표 설정 이론

    1) 기본 가정: 
    좋은 목표가 주어지면 구성원의 동기부여가 가능

    2) 좋은 목표의 특성(조건): 
    구체적, 현실적, 적당한 난이도, 달성 가능 여부 확인과 피드백 용이 등

    3) 상황 변수:
    구성원의 속성, 문화적 차이, 파업의 특성 등에 따라 목표 - 성과 간 관계 변화 가능

    4) 목표관리법:
    드러커, 맥그리거 -조직목표와 개인 목표의 정렬을 통한 조직관리 방안

    10.4. 데시의 인지평가이론

    1) 기본 가정:
    자신의 직무가 가지는 의미/가치 등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통해 동기부여가 영향 받음
    (스스로 원해서 하는지 아니면 대가를 바라고 하는지)

    2) 내재적 보상과 외재적 보상

    ① 내계적 보상: 스스로 하는 일에 대해 느끼는 만족과 성취감
    ② 외재적 보상: 직무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각종 임금, 지위, 인정 등
     내재적 보상을 누리는 사람에게 외재적 자극이 주어지며 오히려 동기유발의 정도가 낮아짐
    반응형

    '산업안전지도사 > 3. 기업진단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의사결정  (0) 2020.07.15
    12. 집단역학  (0) 2020.07.15
    10. 동기부여의 내용이론  (0) 2020.07.15
    9. 학습과 강화  (0) 2020.07.15
    8. 태도, 성격, 지각  (0) 2020.07.15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