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의 유예 및 폐지 논란재테크/주식, 펀드 2024. 10. 11. 11:23반응형
1. 주요 논점:
금융투자소득세는 2025년부터 시행 예정이었으나,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 최소 4년의 유예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됨. 반면, 야당에서는 아예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는 상황.
2. 민주당 내 입장:
김한정 민주당 의원은 "4년 정도의 유예가 필요하다"며, 금융투자세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힘.
김 의원은 "MSCI 선진국지수 편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금융투자소득세 시행 시점을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
3. 국제적 기준 및 민주당 내부 논의:
민주당 내에서는 2~4년의 기한을 두고 유예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 국제적인 시황과 한국 증시의 정상화 과정에서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강조됨.
4. 야당 및 반대 의견:
국민의힘 및 야당은 금융투자소득세를 아예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 야당에서는 세금 폐지 이후의 주식시장의 상황을 지켜본 뒤 관련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
5. 2023년 논의 배경:
2023년 시행 예정이었던 금융투자소득세는 여야 합의로 한 차례 미뤄졌고, 2025년 1월 시행을 앞두고 있음. 민주당은 2023년 10월 4일 임시총회에서 유예 또는 폐지 결정을 지도부에 위임하기로 함.
6. 향후 방향성:
여야 간 유예 기간을 두고 갈등이 계속될 것으로 보임. 여당은 시장 안정화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인 반면, 야당은 불확실성 해소와 세금 폐지의 필요성을 강조.
7. 정책적 부담:
민주당 내부에서도 폐지 주장에 대한 반대 입장이 강하지만, 금융투자소득세의 완전한 폐지는 여전히 논의 중이며, 이에 따른 정책적 부담이 존재.
정리하면, 금융투자소득세의 유예 여부를 두고 여야 간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민주당 내에서도 신중론과 강경론이 충돌하는 가운데 최종 결정이 내려질 전망입니다.반응형'재테크 > 주식, 펀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에서 경쟁력 약화로 인한 ‘반도체 경영진단’ (5) 2024.10.11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의 취임 4주년과 현대차의 변화와 성과 (1) 2024.10.11 최태원 SK그룹 회장 중동을 방문 (2) 2024.10.11 현대ENG, 세르비아 태양광 수주 (2) 2024.10.10 한국 주식시장 FTSE 러셀 선진국 지수 편입 (3) 2024.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