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
종례시간_도종환시 2021. 9. 14. 07:39
종례시간_도종환 얘들아 곧장 집으로 가지 말고 코스모스 갸웃갸웃 얼굴 내밀며 손 흔들거든 너희도 코스모스에게 손 흔들어 주며 가거라 쉴 곳 만들어 주는 나무들 한 번씩 안아 주고 가라. 머리털 하얗게 셀 때까지 아무도 벗해 주지 않던 강아지풀 말동무해 주다 가거라 얘들아 곧장 집으로 가 만질 수도 없고 향기도 나지 않는 공간에 빠져 있지 말고 구름이 하늘에다 그린 크고 넓은 화폭 옆에 너희가 좋아하는 짐승들도 그려 넣고 바람이 해바라기에게 그러듯 과꽃 분꽃에 입 맞추다 가거라 얘들아 곧장 집으로 가 방안에 갇혀 있지 말고 잘 자란 볏잎 머리칼도 쓰다듬고 가고 송사리 피라미 너희 발 간질이거든 너희도 개울물 허리에 간지럼 먹이다 가거라 잠자리처럼 양팔 날개 하여 고추밭에서 노을 지는 하늘 쪽으로 날아가다 ..
-
결혼에 대하여_정호승시 2021. 9. 9. 08:01
결혼에 대하여_ 정호승 만남에 대하여 진정으로 기도해온 사람과 결혼하라 봄날 들녘에 나가 쑥과 냉이를 캐어본 추억이 있는 사람과 결혼하라 된장국을 풀어 쑥국을 끓이고 스스로 기뻐할 줄 아는 사람과 결혼하라 일주일 동안 야근을 하느라 미처 채 깍지 못한 손톱을 다정스레 깎아주는 사람과 결혼하라 콧등에 땀을 흘리며 고추장에 보리밥을 맛있게 비벼먹을 줄 아는 사람과 결혼하라 어미를 그리워하는 어린 강아지의 똥을 더러워하지 않고 치울 줄 아는사람과 결혼하라 가끔 나무를 껴안고 나무가 되는 사람과 결혼하라 나뭇가지들이 밤마다 별들을 향해 뻗어나간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과 결혼하라 고단한 별들이 잠시 쉬어가도록 가슴의 단추를 열어주는 사람과 결혼하라 가끔은 전깃불을 끄고 촛불 아래서 한 권의 시집을 읽을 줄 아는 사..
-
옥수수처럼 자랐으면 좋겠다_박노해시 2021. 7. 23. 10:43
옥수수처럼 자랐으면 좋겠다. 박노해 봄비를 맞으며 옥수수를 심었다. 알을 품은 비둘기랑 꿩들이 반쯤은 파먹고 그래도 옥수수 여린싹은 보란듯이 돋았다. 6월의 태양과 비를 먹은 옥수수가 돌아서면 자라더니 7월이 되자 내키보다 훌쩍 커지며 알이 굵어진다. 때를 만난 옥수수처럼 자랐으면 좋겠다. 네 맑은 눈빛도 좋은 생각도 애타고 땀 흘리고 몸부림쳐온 일들도 옥수수처럼 자랐으면 좋겠다. 시련과 응축의 날들을 걸어온 작고 높고 깊고 단단한 꿈들도 때를 만난 사람보다 강력한것은 없으니 옥수수처럼 자랐으면 좋겠다. 네 눈물도 희망도 간절한 사랑도 옥수수처럼 자랐으면 좋겠다. 박노해의 '숨고르기' 중에서
-
6월의 당신에게 띄우는 편지_이채시 2021. 6. 21. 20:08
6월의 당신에게 띄우는 편지 꿈이 있는 당신은 행복합니다 그 꿈을 가꾸고 보살피는 당신은 아름답습니다 기쁨이 클 수록 눈물이 깊었음을 꽃 지는 아픔없이는 보람의 열매도 없다는 것을 어느 날의 하루는 지독히 가난했고 어느 날의 하루는 지독히 외로웠어도 슬픔도 괴로움도 견뎌야 했던 것은 꽃같은 당신의 삶을 사랑했기 때문이리라 누군들 방황하지 않으리오 누군들 고독하지 않으리오 방황속에서도 돌아와 누운 밤 그 밤의 별빛은 그토록 차가웠어도 오늘도 어제처럼 내일도 오늘처럼 인내의 걸음을 늦추지 않는 당신 그런 당신을 나는 진실로 사랑하고 싶습니다
-
퇴직_박두규시 2021. 6. 13. 13:20
퇴직, 박두규 33년 동안 물밑을 헤엄쳐 왔다 언젠가부터 나이 60이 되면 수면 위로 올라가 뭍에 첫발을 딛고 늘 꿈꾸던 하늘을 보며 오래 젖은 몸을 햇볕에 말리고 싶었다 잘 마른 한지처럼 바싯거리는 소리를 내며 책장 넘기는 기분을 한껏 내고 싶었고 가난한 어부의 함석지붕에 널려 있다가 어느 명절에 잘 쓰여도 무방하다고 생각했다 다만, 수면 위로 머리를 내미는 순간 한순간 요동치는 심장의 소리를 듣고 싶었고 어머니의 젖을 물고 바라보았을 첫날의 경이로운 하늘을 기억해 내고 싶었다 글을 처음 익힐 때처럼 책을 읽고 시를 처음 쓸 때처럼 펜을 잡고 싶었다 얼마나 더 이승의 밥그릇을 훔치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아, 한 세월이 또 온다 박두규 시인. 현재‘한국작가회의’ 이사. ‘지리산人’ 편집인. ‘국시모 지리산..
-
나는 배웠다 2_양광모시 2021. 4. 20. 08:00
나는 배웠다 2_양광모 삶은 산문이지만 사랑은 운문이라는 것을 어떤 사랑은 눈물로 마침표를 찍지만 어떤 사랑은 기도로 느낌표를 찍는다는 것을 낯 뜨겁게 만드는 사람이 있고 가슴 뜨겁게 만드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희망은 아침에 떠오르는 찬란한 태양이 아니라 어두운 밤하늘의 희미한 별빛이라는 것을 촛불이 뜨겁게 타오를수록 촛농도 더 많이 고인다는 것을 눈과 얼음에게는 겨울이 봄이요, 응달이 양지라는 것을 성공의 무게를 재는 저울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행복의 길은 혼자 걸어가기에는 너무 좁고 함께 걸어가에는 충분히 넓다는 것을 너무 불행한 것이 아니라 조금 덜 행복할 뿐이라는 것을 가장 현명한 사람은 빈틈 없는 사람이 아니라 쉴 틈을 잘 만드는 사람이라는 것을 인생이란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잃고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