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영향요인
-
3. 사회적 영향 요인_혁신 수용 과정(2017)경영지도사 2차 마케팅 기출문제/소비자행동론 2020. 10. 24. 19:29
기업은 혁신적인 신제품을 시장에서 성공시키기 위해서 소비자의 행동을 근본적으로 변경시켜야 한다. 혁신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 과정을 고관여와 저관여 혁신 수용 과정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그리고 로저스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혁신 제품 수용 시점에서의 개 인간 특성에 따른 다섯 유형과 신제품의 수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혁신 제품의 특성 다섯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14, 30점) 1. 혁신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 과정 소비자의 혁신 수용 과정은 관여도에 의해 달라진다. 1) 고관여 혁신 수용 과정 - 소비자가 혁신의 수용을 결정하는 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는 경우를 말하며, - 혁신은 ‘인지-정보탐색-태도 형성-시용-수용’의 단계를 거쳐 수용된다. - 고관여 혁신 수용 과정은 혁신 수용에..
-
3. 사회적 영향 요인_준거집단(2007)경영지도사 2차 마케팅 기출문제/소비자행동론 2020. 10. 24. 18:21
준거집단의 의의와 유형을 설명하고, 준거집단이 소비자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약술하시오. (2007, 10점) 1. 준거집단의 의의 - 개인행동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집단을 의미한다. - 준거 집단은 규범,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사고와 행동 방식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 준거 집단은 준거인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준거인이란, 타인의 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람 2. 준거집단의 유형 1) 회원 집단 회원 집단이란, 내가 속한 집단을 의미 (1) 1차 공식 집단 - 구성원의 자격조건이 명확하고, 명단, 조직구조가 문서화되어 있으며, 구성원들이 자주 접촉하는 집단 - 예) 직장동료, 학급 친구 등 (2) 1차 비공식 집단 - 구성원들이 자주 접촉하지만 공식적이지 않은 집단이다. -..
-
3. 사회적 영향 요인_사치품과 필수품(2018)경영지도사 2차 마케팅 기출문제/소비자행동론 2020. 10. 24. 11:01
Bearden과 Etzel은 ‘제품을 소유한 소비자의 수’와 ‘제품이 공공장소에서 소비되느냐 혹은 개인적으로 사용되느냐’를 기준으로 제품을 분류하고, 분류된 제품 유형별로 준거집단이 제품과 상표의 구매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제시하였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018, 30점) 물음 1) 제품을 사치품과 필수품으로 나누었을 때, 두 제품에 대한 준거집단의 영향력 차이를 설명하시오. (5점) 물음 2) 제품을 공공장소에서 소비되는 제품과 사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으로 나누었을 때, 두 제품에 대한 준거집단의 영향력 차이를 설명하시오. (5점) 물음 3) 공공장소에서 사용되는 사치품, 개인적으로 사용되는 사치품, 공공장소에서 사용되는 필수품, 개인적으로 사용되는 필수품의 네 가지 제품 유형별로 제품 구매와..
-
3. 사회적 영향 요인_VALS프로그램(2015)경영지도사 2차 마케팅 기출문제/소비자행동론 2020. 10. 24. 10:38
미국의 스탠퍼드연구소에서 소비자들의 가치와 라이프스타일 등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전문적으로 추적, 조사하기 위하여 VALS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종류를 각각 설명하고 단점 및 한계를 논하시오. (2015, 30점) 1. VALS 1 1) 개요소비자 집단을 문화적 가치에 따라 다음의 3개의 세분 시장으로 나누어 측정한다. 2) 세분시장(3개) (1) 외부 지향적 소비자 집단(전체 소비자의 67%)제품 구매 시 타인들의 생각을 의식하며, 기존 규범에 순응하려는 동기가 강한 소비자 집단임 (2) 내부 지향적 소비자 집단(전체 소비자의 22%)- 기존의 전통적 문화 규범보다는 자신의 내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함. - 자기를 표현하기 위해 제품을 구매하는 성향이 강한 소비자 집단임 ..
-
3. 사회적 영향 요인_문화의 특징_문화의 구성요인(2011)경영지도사 2차 마케팅 기출문제/소비자행동론 2020. 10. 24. 10:34
문화의 특징을 설명하고 문화의 구성요인을 제시하시오. (2011, 10점) 1. 문화의 정의- 문화란 사회적으로 학습되고 사회구성원들에 의해 공유되는 모든 것 - 여기엔 사회 구성원들에 의해 생산, 소비되는 유무형 재화뿐 아니라, 의미, 규범, 전통과 같은 추상적 개념도 포함 - 문화는 한 사회 특유의 라이프스타일로 그 사회가 직면하였던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방식이 축적되어 있다. 2. 문화의 특징1) 문화는 사회 구성원들에게 규범을 제공한다. 2) 문화는 학습된다. 3) 문화는 공유된다. 4) 문화는 지속적인 동시에 동태적이다. 3. 문화의 구성요인 1) 물질적 요소기술 수준, 경제력 수준과 관련된 전화, 자동차 등 문화의 물질적 요소는 가치 및 신념 형성의 토대를 제공한다. 2) 사회적 기관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