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
6. 소비자 정보 처리 과정_수단적 조건화_강화의 유형(2017)경영지도사 2차 마케팅 기출문제/소비자행동론 2020. 10. 31. 08:15
스키너의 비둘기 실험으로 대표되는 행동주의적 학습이론인 작동적 조건화 혹은 수단적 조건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 학습이론에서 학습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강화의 유형 세 가지를 설명하시오. (2017, 10점) 1. 수단적 조건화 1) 기본 개념 - 실험 대상이 자극에 대한 반응의 결과가 어떠한가를 학습하여, 동일한 반응으로 강화되거나 혹은 동일한 반응이 회피된다는 것 2) 스키너의 실험 스키너는 상자에 단추를 설치하고 비둘기를 넣은 상황을 만든 후, 비둘기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비둘기는 우연히 단추(자극)를 몇 번 누르게 되었는데, 단추를 누른 결과를 학습하여 이후 스스로 단추를 누르거나(강화) 혹은 누르지 않게 되었다(회피). (스키너의 비둘기 실험-단추를 누를 때 : 긍정적 강화(모이가 공급),..
-
9. 학습과 강화산업안전지도사/3. 기업진단지도 2020. 7. 15. 19:51
9.1. 학습 1) 개념 : 반복적 연습이나 경험에 의한 장기적 행동변화 2) 학습이론 : - 행동주의(조건화 강조) - 인지주의(사고 과정 강조) - 사회인 지주의(행동+인지 강조) (주요 개념: 대리 학습과 자기 효능감) 3)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세부 내응 ① 고전적 조건화(파블로프) : 조건이 주어지면 반응이 나타남 가장 초보적이고 고전적인 방법으로 파블로브가 동물을 학습시킬 때 배운 방식이다. 즉, 조건화된 자극에 무조건 반응을 연관하여 이를 계속적인 반응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반복적인 연습을 하게 될 경우 이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진 다고 본 것이다. 훈련 방식에 있어서 단순 반사적 수동적이다. 개는 고기 무조건 자극만 보면 침을 흘리는데 무조건 반응 고기를 줄 때마다 종소리 조건 자극을 들려주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