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 인구 증가와 노노부양 현상신중년과정 2024. 10. 4. 20:08반응형
1. 노인 인구 증가와 노노부양 현상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노인이 된 자녀가 노부모를 부양하는 "노노(老老) 부양" 가구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노노부양 가구는 약 13만 1008 가구로, 이는 4년 전보다 40% 증가한 수치입니다.
80세 이상 부모를 부양하는 60세 이상의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수도 증가해, 2023년 현재 13만 1008명입니다.
2. 경제적 부담 증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60세 이상의 고령자가 계속 일하면서 80세 이상의 부모를 부양하는 현상이 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에 가입된 60-79세 직장가입자는 2019년 9만 4373명에서 2023년 13만 1008명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3. 노인 취업의 증가 요인
노노부양 외에도, 경제적 필요성과 고령화로 인해 고령자의 취업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자영업이나 영세 사업체에서 일하는 고령자가 많습니다.
4. 복지 사각지대 문제
노인 인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고령자가 적지 않다는 점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 중 장기요양 보험 혜택을 받는 사람의 비율은 12.9%로 OECD 평균(20.2%) 보다 낮은 상황입니다.
5. 향후 대책 필요성
정부는 고령자들의 돌봄, 간병, 그리고 의료 시스템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고령화와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조명하고 있으며, 특히 경제적, 사회적 지원 시스템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출처 : 한국경제반응형'신중년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기술이 있어야 한다. (2) 2024.12.06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따른 예상 연금액 삭감률 (1) 2024.10.08 2차 베이비붐 세대(1968~1974년생)가 건강 관리 (0) 2024.10.01 국민연금, 두 배로 활용하기 (4)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