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
유보율시사경제용어 2024. 10. 19. 07:47
1. 유보율 1) 개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을 합한 금액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이 비율은 기업이 얼마나 많은 이익을 재투자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2) 정의 유보율 = (이익잉여금 + 자본잉여금) / 납입자본금 × 100 2. 구성 - 이익잉여금: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순이익 중 배당금으로 지급하지 않고 retained(유보)한 부분입니다. 이는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자본잉여금: 기업이 자본 거래(예: 주식 발행) 등을 통해 얻은 자본으로, 주주로부터 받은 자본금 외에 추가로 모은 자산을 의미합니다. 3. 국내외 사례 1) 국내 사례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높은 유보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연구..
-
생애주기가설(Life Cycle Hypothesis)시사경제용어 2024. 10. 9. 17:32
생애주기가설(Life Cycle Hypothesis) 1. 정의: 생애주기가설은 개인의 현재 소비가 단순히 현재 소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평생에 걸쳐 벌어들이는 소득을 고려하여 결정된다는 가설이다. 2. 제창자: 이탈리아 경제학자 프랑코 모딜리아니(Franco Modigliani)에 의해 주창된 이론으로, 1980년대에 은퇴 설계의 기본 이론으로 정립되었다. 3. 주요 내용: 사람들은 생애 동안 소득과 소비를 조정한다. 청년기 및 장년기에는 소득이 증가하는 시기이므로 저축을 늘리고 자산을 축적한다. 노년기에는 축적된 자산을 소비하여 생애 전반의 소비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한다. 이러한 생애주기 소비 패턴은 개인이 삶의 각 단계에서 최적의 경제 결정을 내리는 것을 설명한다. 4. 경제적 효과: ..
-
용어의 정의산업안전지도사/1. 산업안전보건법령 2020. 7. 20. 06:56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정의) 1. "산업재해"란 노무를 제공하는 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ㆍ설비ㆍ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2. "중대재해"란 산업재해 중 사망 등 재해 정도가 심하거나 다수의 재해자가 발생한 경우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재해를 말한다. 제3조(중대재해의 범위) 법 제2조제2호에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재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재해를 말한다.1.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2.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3.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근로자"란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1호에 따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