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정보처리과정
-
6. 소비자 정보 처리 과정_정교화 가능성 모델, 균형이론, 일치성 이론, 고전적 조건화, 대리학습 이론 (2010)경영지도사 2차 마케팅 기출문제/소비자행동론 2020. 10. 31. 08:48
소비재 제품 기업에서 왜 기업들이 비싼 돈을 들여가며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 모델을 쓰려고 하는지를 정교화 가능성 모델, 균형이론, 일치성 이론, 고전적 조건화, 대리학습 이론을 가지고 논하시오 (2010, 30점) 1. 개요소비재 제품 기업, 즉 비교적 관여도가 낮은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비싼 돈을 주고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 모델을 쓰는 경우가 많다. 2. 정교화 가능성 모델 1) 정의소비자가 설득적 메시지에 노출될 때, 메시지 정보에 주의를 기울 이며,자신의 욕구와 관련시켜 정보를 처리하는 노력의 정도를 이야기한다. 2) 소비자의 관여도가 낮을 경우- 소비자의 이러한 정교화 가능성은 낮다. - 소비자의 태도는 제품의 정보보다 광고모델, 음악 등의 광고 실행적 요소의 영향을 받아 형성이..
-
6. 소비자 정보 처리 과정_수단적 조건화_강화의 유형(2017)경영지도사 2차 마케팅 기출문제/소비자행동론 2020. 10. 31. 08:15
스키너의 비둘기 실험으로 대표되는 행동주의적 학습이론인 작동적 조건화 혹은 수단적 조건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 학습이론에서 학습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강화의 유형 세 가지를 설명하시오. (2017, 10점) 1. 수단적 조건화 1) 기본 개념 - 실험 대상이 자극에 대한 반응의 결과가 어떠한가를 학습하여, 동일한 반응으로 강화되거나 혹은 동일한 반응이 회피된다는 것 2) 스키너의 실험 스키너는 상자에 단추를 설치하고 비둘기를 넣은 상황을 만든 후, 비둘기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비둘기는 우연히 단추(자극)를 몇 번 누르게 되었는데, 단추를 누른 결과를 학습하여 이후 스스로 단추를 누르거나(강화) 혹은 누르지 않게 되었다(회피). (스키너의 비둘기 실험-단추를 누를 때 : 긍정적 강화(모이가 공급),..
-
제6장 소비자 정보 저리 과정(2)경영지도사 2차 마케팅 학과/소비자행동론 2020. 9. 22. 05:00
2. 주의 2.1 주의의 개념 - 특정 정보에 대한 정보 처리 능력의 집중 - 개인의 인지 시스템은 유입 정보를 끊임없이 감시하고 계속적인 정보 처리를 위하여 일부를 선택하는 메커니즘을 말한다. 2.2 관여도에 따른 주의의 정도 1) 고관여 상태의 주의 - 소비자는 지속적이고 상황적으로 높게 관여된 제품군에 관련된 정보에 우연히 노출되면 주의를 기울인다(강화된 주의) - 또한 소비자가 정보 탐색에 대한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면 강화된 주의뿐만 아니라 적극적, 능동적으로 정보를 찾아 주의를 기울인다(외적 탐색) 2) 저관여 상태의 주의 - 저관여 제품의 정보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정보처리가 전혀 되지 않거나 약간의 주의에 의하여 수동적 정보 처리가 이뤄진다. - 그러나 동일 정보에 반복 노출되면, 그다지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