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
학생 문해력 저하 문제카테고리 없음 2024. 10. 8. 09:16
1.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 현황 1) 설문조사에 따르면 교사 92%는 학생들의 문해력이 떨어져 기본적인 설명조차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응답. 2) 중고등학교 학생 중 39.3%가 과거 대비 문해력이 매우 낮아졌다고 평가됨. 3) 시험 문제 자체를 이해하지 못해 학습 성과가 저하되는 문제 발생. 2. 문해력 저하의 원인 1) 스마트폰, 게임, 디지털 매체 과다 사용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됨. 2) 독서 부족과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지나친 의존이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를 가중시키고 있음. 3. 교육 현장의 반응 1) 교사들은 학생들이 사소한 단어조차 이해하지 못하고, 오해로 인해 욕설을 하기도 한다고 토로. 2) 수업 중 설명에 대해 욕설하는 학생의 사례가 인용되며, 교사들이 이를 고치기 위해 고민하고 있..
-
이재영 교수의 노트 쓰기 팁논문 & 글쓰기 2024. 9. 22. 18:11
이재영 교수의 노트 쓰기 팁 1. 정자체로 또박또박 쓰세요. - 생각이 폭주할수록 천천히 또박또박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할수록 글이 잘 써지지 않기 마련입니다. 낮은 차원에서 생각을 붙잡고 연결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는 글을 쓸 때 항상 정리된 형태로 작성했습니다. 2. 노트는 반드시 다시 보세요. - 노트는 다시 읽기 위해 작성하는 것입니다. 틈날 때마다 읽으면 더 새로운 생각이 탄생합니다. 이를 통해 '메타 사고(Meta Thinking)', 즉 생각을 생각하는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메타인지(Meta Cognition)는 자신을 뛰어넘는 사고를 가능하게 합니다. 영감(inspiration)보다 땀흘림(perspiration)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노트를 쓰는 과..
-
2022년 읽은 책 정리독서/읽은 책 2022. 12. 22. 07:53
1. 초보자를 위한 투자의 정석, 우석 2. 소로스 투자특강, 조지 소로스 3. 욕망하는 냉장고, KBS 냉장고 제작팀 4. 전설로 떠나는 윌가의 영웅, 피터린치 외 5. 코스톨라니의 투자노트, 앙드레코스톨라니 6. 주식 농부처럼 투자하라, 박영옥 7. 냉장고의 탄생 8. 하버드 글쓰기 수업, 송숙희 9. 홈트의 정석, 수피 10. 통곡 없이 잠 잘 자는 아기의 비밀, 곽윤철 11. 인생을 바꿀 12가지 지혜 리더의 아침수업 12. 미움받을 용기_기시미 이치로·고가 후미타케 13. 강방천&존리와 함께하는 나의 첫 주식 교과서 14. 기획자의 독서, 김도영 15. 자기혁명 독서법_핑크팬더 16. 의사에게 ‘운동하세요’라는말을 들었을 때 제일 처음 읽는 책_나카노 제임스 슈이치 17. 사람을 얻는 지혜, 발..
-
기획자의 독서_김도영독서/독서방법 2022. 8. 19. 15:28
책속에 울림이 있다. 자주 봐야 할 책..... 네덜란드 철학자 스피노자의 유명한 격언이 있습니다. “나는 깊이 파기 위해서 넓게 파기 시작했다.” 저는 이 말이 반대로도 적용된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넓게 알고 싶어서 깊이 알기 시작했다’라고 말이죠. 그리고 저자의 추천서 멋진 보통 사람들에게 전하는 ‘그때’를 위한 책 01. 다른 사람의 직업을 통해 내 일을 바라보고 싶을 때 《일의 기쁨과 슬픔》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은행나무 02. 사업으로서, 산업으로서의 디자인이 궁금할 때 《0.1cm로 싸우는 사람》 박영춘, 김정윤 지음, 몽스북 03. 일상 속의 내 모습을 꺼내어 보고 싶을 때 《보통의 존재》 이석원 지음, 달 04. 알 수 없는 무거운 분위기가 우리 곁에 내려앉았을 때 《그리스..
-
문장력을 키우는 10가지 방법논문 & 글쓰기/글쓰기에 관한 책 2021. 9. 20. 07:37
문장력을 키우는 10가지 방법 1. 어휘력이나 표현술(表現術)을 늘린다. - 글을 읽다가 눈이 번쩍 띄는 낱말, 희한한 표현은 체크해 둔다. - 글을 쓰다가 막히면 꿈에서도 물고 늘어진다. - 자신도 감동할 수 있는 표현을 찾는다. 2. '메모'는 글솜씨를 향상시켜주는 보증수표다. - '명작'의 뒤안길엔 반드시 '메모의 광주리'가 있다. - '메모'는 작문의 첫 관문인 글감을 찾는 데 도움을 준다. - '생활의 주변' -- 모두가 메모의 대상. - 메모는 번득이는 순간적 '영감'을 붙잡아 둔다. 3. 애매한 말은 사전을 뒤지며 쓴다. - '정확한 문장'은 정확한 언어에서. - '사전'은 글 쓸 때의 절대적 필수품. - 낱말의 '사전적 의미'보다 '문맥적 의미'에 유의하라. - 언젠가 써먹을 말이면, 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