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역학
-
냉동 공학에서 사용되는 열전달의 세 가지 기본 형식과 특징공기조화냉동/열역학 2024. 10. 20. 07:54
냉동 공학에서 사용되는 열전달의 세 가지 기본 형식과 특징1. 개요냉동 공학에서 열전달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며, 열은 온도 차이에 의해 이동합니다. 열전달 과정의 세 가지 기본 형식은 전도, 대류, 복사입니다. 2. 열전달의 세 가지 기본 형식과 특징1) 전도 (Conduction)(1) 정의: 물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열이 전달되는 현상입니다. 즉, 고온의 물체에서 저온의 물체로 물체 내부를 통해 열에너지가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특징: 물체를 구성하는 분자들의 운동에 의해 열이 전달되며,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일수록 열전달이 빠르게 일어납니다. 일반적으로 고체에서 열전도가 가장 잘 일어나고, 액체, 기체 순으로 열전도율이 낮아집니다. (3) 예시: 냉장고 벽을 통한 열전달, 금속 ..
-
목차기초공학/열역학 2020. 10. 3. 08:13
2020/06/22 - [열역학] - 1. 열역학이란 1. 열역학이란 1. 열역학이란 1) 정의 : 열에너지를 유효하게 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이론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2) 이용 : 화공부분과 열기관, 냉동기, 공조기 등에 적용 3) 열역학과 열전달의 차이 ① 열역학 jeek21.tistory.com 2020/06/22 - [열역학] - 2. 계와 동작물질 2. 계와 동작물질 2. 계와 동작물질 1) 계 (System) : 연구대상이 되는 물질이나 공간의 한정된 영역 ① 개방계(유동계 : Open System) - 계의 경계를 통해 질량의 유동이 있는 계. - 동작 물질은 밖에서 들어와 나갈 jeek21.tistory.com 2020/06/23 - [열역학] - 3. 물질의 과정과 상태 3. 물질의 과..
-
9. 압력(pressure)기초공학/열역학 2020. 7. 6. 22:03
9. 압력(pressure) 1) 정의 단위면적당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2) 표준대기압 l[atm]=760[mmHg]=76[cmHg] =1.0332 [kgf/cm2]=10332 [kgf/m2] =10.33[mAq(H2O)] =14.7[psi(lb/in2)] =101325[Pa]=101.3[kPa]=0. l[MPa] =1.01325[bar] 3) 절대압력과 게이지압력, 진공압력 구 분 절대압력(Pa) 게이지압력(Pg) 진공압력(Pv) 정의 완전진공 '0'을 기준으로 측정한 압력이다. 압력계로 측정한 압력으로서 대기압 '0'을 기준으로 측정한 압력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서 부압이다. 단위 - 절대압력을 'a' 또는 'abs'로 표시 - 게이지압력을 g로 표시 진공압력을 v로 표시 관계 이전글 2020..
-
6. 열역학 1법칙= 에너지 보존법칙기초공학/열역학 2020. 6. 26. 10:53
6.1. 열역학 1법칙 = 에너지 보존법칙 1) 열과 일 모두 에너지의 한 형태로 열은 일로, 일을 열로 전환이 가능하며 일과 열 사이에는 일정한 비례관계가 성립 Q->W, W->Q 2) 에너지 보존의 법칙으로 열을 일로, 일을 열로 전환할 때 에너지 총량은 변하지 않고 일정하다. 3)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일을 발생하게 하는 '제1종 영구기관'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열과 일은 본질적으로 같으며 열은 일로 변화시킬 수 있고 반대로 일은 열로 변화시킬 수 있다. 6.2. 일과 열 1) 일(에너지) W(J) : 힘 X 이동된 거리 ① 단위 (J) 1 J = 1 N x 1 m = 1 N • m ② 기본식 2) 일과 열 Q= A-W , W= J- Q Q : 열량 (kcal) W : 일량 (kg..
-
5. 열역학 0법칙 = 열평형의 법칙기초공학/열역학 2020. 6. 25. 08:17
5. 열역학 0법칙 어떤 물체가 다른 물체와 열평형 관계에 있으면 두 물체는 열평형 상태에 있다. 온도계의 원리가 된다. 1) 열평형 상태에 있는 물체의 온도는 같다. 2) 온도의 눈금은 열평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3) 고온의 물체와 저온의 물체가 교환하면 언젠가는 열평형을 이룬다. 4) 자연적일 때 열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열은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온도계를 이용한다. 여름철 교실에 실내가 더워 창문을 열면 복도와 교실은 열평형 상태가 된다. 이전글 2020/06/24 - [기초공학/열역학] - 4 . 단위 4 . 단위 4 . 단위 1) 단위계 (1) SI 단위계 : 질량(kg), 길이(m), 시간(s)의 3종류를 기본으로 한다. ① 기본단위계 구 분 광도 물질의 량 질량 전류 온도 시..
-
4 . 단위기초공학/열역학 2020. 6. 24. 00:43
4 . 단위 1) 단위계 (1) SI 단위계 : 질량(kg), 길이(m), 시간(s)의 3종류를 기본으로 한다. ① 기본단위계 구 분 광도 물질의 량 질량 전류 온도 시간 길이 내 용 cd mol kg A K sec m ② 유도단위 구 분 넓이 속도 부피 가속도 압력 비체적 동력 내 용 (2) 공학 단위계 : 중량(kgf), 길이(m), 시간(s)의 3종류를 기본으로 한다. 2) 힘 ① SI 단위계 ② 공학 단위계 3) 공학 단위계와 SI 단위계 이전글 2020/06/23 - [기초공학/열역학] - 3. 물질의 과정과 상태 3. 물질의 과정과 상태 3. 물질의 과정과 상태 1) 과정 (Process) : 동작물질이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상태변화라고 하며, 이 경로를 과정이라고 한다. 구..
-
3. 물질의 과정과 상태기초공학/열역학 2020. 6. 23. 05:36
3. 물질의 과정과 상태1) 과정 (Process) 동작물질이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상태변화라고 하며, 이 경로를 과정이라고 한다.구 분가역과정비가역과정내용계가 열역학적 평형상태를 유지하면서 변화하는 과정가역과정이 아닌 과정변화과정 폴리트로픽 변화 비가역 단열변화- 실제의 변화는 준 가역과정이다.2) 사이클(Cycle) - 계가 여러 과정을 거쳐서 최초의 상태로 돌아올 때 그 계를 사이클이라 한다.- 따라서, 가역과정시 사이클을 이룬 계는 최초의 상태값과 같다고 할 수 있다. 3) 상태량(성질, 상태함수, 점함수) - 물질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 계가 그 상태에 도달한 과거의 경로와는 무관하다.- 즉, 과정에는 상관없이 상태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 함수.구 분강도성 상태량(강도성질)용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