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간호관리료 차등제
-
간호관리료 차등제시사경제용어 2024. 10. 27. 20:40
간호관리료 차등제 1. 정의 병원내간호 인력 확보 수준에 따라 입원료 등 수가를 가산하는 제도로, 간호등급제로도 불린다. 의료기관이 간호사를 충분히 배치할수록 건강보험 수입이 높아지게 함으로써 자발적으로 간호사를 채용하도록 하고, 간호사 이직을 막기 위한 취지로 1,999년 도입됐다. 간호인력 수와 병상수 비율에 따라 1등급에서 7등급까지 간호관리료 등급을 구분한다. 최소 기준은 병상 2.5개 당간호사 1명이다. 2. 간호관리료 차등제의 사례와 문제점, 영향 1) 사례 - 대형 종합병원: 서울의 대형 종합병원들은 간호사 인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재정적 여유가 있어, 간호관리료 차등제에서 높은 등급(1~3등급)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통해 건강보험 수입이 늘어나고, 간호사 1인당 환자 수가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