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
-
5. 태도의 형성과 변화_기대가치이론(2007)경영지도사 2차 마케팅 기출문제/소비자행동론 2020. 10. 30. 10:23
기대가치이론으로 고객만족을 약술하시오. (2007, 10점) 1. 개요 1) 기대가치이론의 정의- 기대 가치 이론은 대상이나 행동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이론으로 피시바인 모델이 대표적인 기대 가치 이론의 모델이다. - 개인은 당면한 상황에 대한 믿음과 가치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자신의 태도를 개발 및 수정한다고 주장한다. - 각 브랜드가 각각의 속성에 있어서 어떠할 것이다라는 ‘기대’와, 그 제품이 그러한 속성을 갖는다는 것이 그 소비자에게 얼마나 바람직한가에 대한 주관적 ‘가치'가 곧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의 토대가 된다고 보는 것이다. 2) Fishbeln 태도 모델 관계식(속성신념 × 속성 평가) 출처: https://jeek21.tistory.com/332?catego..
-
11. 동기부여의 과정이론산업안전지도사/3. 기업진단지도 2020. 7. 15. 20:28
11.1. 브롬의 기대 이론 1) 기본 가정: 직무수행에의 동기는 노력 - 업적(성과) - 보상의 연결고리와 관련이 있음2) 동기 부여의 과정: M=E (기대 ) X I (수단성 ) X V(유의성 ) (세 가지가 모두 존재하며야 함) ① 기대: 특정한 노력이 업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가능성에 대한 믿음 (주관적) - 자기 효능감, 목표의 난이도, 통제감 등의 영향을 받으며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짐 ② 수단성: 업적에 대하여 보상이 주어질 것으로 믿을 수 있는 정도 (주관적) - 조직이나 상사에 대한 신뢰, 조직정치 둥의 영향을 받으며 '-1'과 '1' 사이의 값을 가짐 ③ 유의성: 주어진 보상에 대하 개인의 선호도(주관적) - 개인적 욕구, 가치, 목표 등의 영향을 받음 11.2. 아담스의 공정..